Latest episode
282. RFA 운영 중단 위기! "언론 통제 국가 주민들, 어쩌나요?"
22:30||Ep. 282"운영 자금 지원이 동결됐으니... 사실상 운영 마비 상태죠.""북한 주민들한테는 세상을 보는 창이 닫힌 셈이죠."의회로부터 운영 자금을 지원 받았던 RFA 자유아시아 방송이 운영 중단 위기에 처했다! '인력과 기능 축소'를 골자로 한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에 의한 결정인데... RFA 자유아시아방송이 공산 국가 등 폐쇄된 나라를 향해 그동안 해 온 역할(외부 정보 유입 및 내부 정보 수집)과 운영 중단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북한 주민 등 내부 주민을 향한 정보 차단) 등을 짚어 본다.Chapters00:00 절망의 시기를 견디기 위한 메시지02:50 RFA 자유아시아 방송의 운영 중단 배경06:03 자유아시아방송 역사와 사명09:07 극동 방송과 연결 고리12:06 RFA 자유아시아방송 영향력과 탈북민의 북한에서 실제 청취 증언14:41 대북방송 필요성과 정치적 지원17:47 RFA 다양한 언어 서비스와 역할, USAGM 소개20:11 자유아시아 방송 중요성과 미래에 대한 희망진행 : 진민재출연 : 조진우/김지수 RFA 자유아시아방송 기자
More episodes
View all episodes
281. 러-우 난타전 끝이 보이나... '러시아가 맘 돌릴까?'
18:24||Ep. 281"러시아는 욕심 부리는데... 우크라이나 보고 자꾸 양보 좀 하라고...""러시아가 내세우는 조건들... 아직도 더 있어요?"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그에 따른 종전 협상에 대한 흐름을 짚어 본다. 특히 사우디 아라비아에서의 미-우 협상 결과와 우크라이나의 어려운 상황, 미국의 압박 등을 중심으로 종전 협상의 현주소를 살펴 보고, 러시아의 강경한 입장과 푸틴 대통령의 태도, 그리고 미국의 협상 전략이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다룬다. 이 가운데 빠질 수 없는 우크라이나 국민 입장도 함께 들어 본다.Chapters00:55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종전 협상03:01 사우디 아라비아에서의 협상과 그 결과05:46 우크라이나의 어려운 상황과 미국의 압박07:54 종전 협상의 희망과 현실08:53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외교적 관계 변화09:11 러시아의 휴전 협상 반대12:44 푸틴 대통령의 강경한 입장15:08 미국의 협상 카드와 우크라이나의 반응진행 : 진민재출연 : 자민 앤더슨/서혜준 RFA 자유아시아 방송 기자280. 북한 평양 마라톤대회 4배 축소 "왜 소심해졌을까?"
20:49||Ep. 280"6년만에 열리는 마라톤을 이렇게 축소해 버렸다고요?""관광도 할 수 있는데, 비용은... 별개예요"평양 마라톤 대회가 열린다!북한이 돌연 라선 관광을 중단한 가운데 6년 만에 열리는 평양 마라톤 대회는 정상적으로 개최된다. 전년도에 비해 매우 작은 규모로 진행하는데... 다음달, 성공적으로 마라톤 행사를 진행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청진 출신 김수경씨와 함께 과거 평양에서 달려봤던 이들의 인터뷰를 모아모아 전달한다.Chapters00:00 청취자 댓글 소개05:12 평양 마라톤 개최 소식10:54 마라톤 참가자 및 북한 관광 상품 정보14:02 과거 참가자 후기와 경험 공유18:06 평양 마라톤의 역사와 의의진행 : 진민재출연 : 김지수 RFA 자유아시아방송 기자, 김수경 탈북민279. 종전 협상이 한창인데... "북한군 파병 또 보냈다고?"
23:56||Ep. 279"잡혀서 포로가 되면 변절자, 배신자가 되는데 자폭했겠죠."아니, 이런 와중에 또 사상자만큼 추가 파병을 했다잖아요,"북한군 러시아 파병과 그에 따른 인권 문제, 전사자 통지, 가족의 고통 등을 중심으로 북한과 국제 정세의 변화 속에서 북한군 상황과 그들이 겪는 고통을 심도 있게 짚어본다. 특히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과 전투 상황, 북한군 포로의 한국행 희망과 국제법에 따른 문제, 전사한 북한군의 비극적 현실과 인권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한다. 과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의 인권은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Chapters01:39 북한군 러시아 파병 현황02:59 북한군 인권 문제와 가족의 고통05:51 북한군 전사자와 그에 대한 통지08:15 북한군 전투 상황과 사상자 통계12:13 북한군 파병과 전투 상황15:18 북한군 포로의 한국행 희망과 국제적 문제20:44 전사한 북한군의 비극적 현실과 인권 문제진행 : 진민재출연 : 조진우 RFA 자유아시아방송 기자, 김수경 청진 출신 탈북민278. 의기양양 트럼프 vs 백기투항 젤렌스키 '종전 협상 될까?'
19:10||Ep. 278"트럼프, 우크라이나에 군사 지원에 이어 정보 지원도 선별적으로 중단했죠.""유럽이 나서서 우크라이나를 도와 주려는데 딱 한 나라가 NO 했다고요?"지난 11일부터 미국과 우크라이나 대표단이 만나 종전 협상에 들어가 가운데, 이를 둘러싼 러시아와 유럽 등 각국의 입장을 짚어본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 간의 고성회담이 전개된 후, 우크라이나의 지지율 상승과 미국의 무기 및 정보 지원 중단이 우크라이나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이와 함께 젤렌스키 대통령의 평화협상 의지와 미국의 역할, 유럽의 대응을 살펴 보는데... 유럽 연합 중 단 한 나라가 결의에 참여하지 않았다고?Chapters00:00 전쟁 종전 협상과 외교적 신리01:25 트럼프와 젤렌스키의 고성회담03:15 우크라이나 지지율 상승과 미국 반응04:56 미국의 무기 지원 중단과 정보 지원08:01 젤렌스키 대통령의 대응과 협상 재개09:51 트럼프 대통령 연설과 젤렌스키의 서한12:09 유럽의 군사적 대응과 우크라이나 안전 보장16:07 러시아의 점령 확대와 국제 사회의 반응진행 : 진민재출연 : 자민 앤더슨/서혜준 RFA 자유아시아방송 기자277. '북한은 왜 그랬을까...' 관광 오라더니 돌연 취소!
26:26||Ep. 277"평양 맥주집에 줄이 쭉~ 북한 사람들 맥주 사랑을 실감했어요.""내일이 출발인데 갑자기 관광 중단 통보를 받았다고 하더라고요."북한이 라선 지구 관광을 서방인들에게 허용하면서 SNS와 각종 언론 매체에는 이들의 여행 후기가 붓물 터지듯 쏟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북한의 관광지는 물론 북한인들의 일상, 북한 내 실상 등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지적도 동시에 나오는 상황이었는데... 북한이 느닷없이 예정된 관광 일정을 취소해 버렸다. 과연 북한은, 김정은은 왜 그랬을까...? Chapters05:11 청취자 댓글 소개 및 소통06:04 북한 관광객 후기 및 북한 교육 현장08:54 북한 내 선전물에 관한 목격담12:06 관광객 시선 : 북한의 통제와 현실15:18 북한 문화와 사회적 현상17:22 북한 관광 명소와 그 이면17:49 담배와 여행 상품 등 흥미로운 이야기20:32 북한 관광 현재와 미래23:07 북한의 관광 중단과 재정비 필요성25:54 관광객과 주민 상생을 위한 바람진행 : 진민재출연 : 김지수 RFA 자유아시아방송 기자, 김수경 탈북민276. USAID 해외 원조 90% 축소에... 중국 "걱정마! 우리가 있잖아~"
24:01||Ep. 276"USAID 여파로 자금 즉시 동결돼서 직원도 무급 휴가 처리했어요.""미국이 해외 원조 대폭 줄이는 틈타서 중국이 '도와줄게, 걱정 마.' 손 내밀잖아요."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많은 변화를 겪는 가운데 가장 먼저 타격을 맞은 게 미국 내 최대 해외 원조 기관인 USAID(미 국제개발처)이다. 특히 최근에는 기존 예산 90%까지 삭감하며 USAID 역할을 파격적으로 축소했다. 이 같은 변화로 인해 직격탄을 맞은 북한 인권 단체 상황과 해외 원조 국가의 과거 내부 실상, 한국 사례를 통한 해외 원조 성공 사례, 미국의 해외 원조 축소로 인한 우려 등을 깊이 있게 짚어 본다. Chapters02:08 미국 트럼프 행정부 변화와 USAID 역할03:58 USAID 해외 원조 축소와 그 영향05:11 해외 원조 계약 해지와 그 심각성07:20 지원 중단된 북한 인권 단체의 실상09:33 유엔 북한 인권 지원 요청11:44 북한 식량 지원과 주민의 현실17:21 한국의 과거 원조와 현재의 변화22:50 미국이 해외 원조 줄이는 틈타 중국이 해외 원조 시도진행 : 진민재출연 : 조진우 RFA 자유아시아방송 기자, 김수경(북한 청진 출신 탈북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