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episode
5. <노 에디터와 서 기자의 편집회의> 다섯 번째 – “감성이 몽글몽글… 그 드라마 봤어?... 눈물나”
23:42||Ep. 5‘꼰대’ 노 에디터와 ‘MZ세대’ 서 기자의 다섯 번째 편집회의에서는 지난 3월 8일 유엔이 지정한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북한 여성에 관한 뒷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북한도 ‘국제부녀절’이라 부르며 전국 각지에서 기념행사를 열지만, 정말 북한 여성의 인권은 개선되고 있을까요?두 사람이 푹 빠진 최신 드라마의 이야기도 결국은 여성의 삶과 관련이 깊다는데, ‘세계 여성의 날’을 맞은 서 기자의 소감도 궁금해요. 편집회의 녹음을 마치고, 서 기자는 현장 취재를 위해 뉴욕에 간다는데… 어떤 취재이길래?<관련 기사 읽기>1. [특집: 북한 여성 오늘] ① 틀에 갇히다 https://www.rfa.org/korean/news_indepth/newsindepth-03102021150423.html② 틀이 금가다 https://www.rfa.org/korean/news_indepth/newsindepth-03112021161216.html③ 틀을 부수다 https://www.rfa.org/korean/news_indepth/newsindepth-03162021151729.html 2. 여성에 대한 국제사회 우려와 권고 외면하는 북한https://www.rfa.org/korean/in-depth/2025/03/07/international-womens-day-north-korea-propaganda/3. 여성에 대한 성폭력과 성차별에 대한 책임 규명에 한목소리https://www.rfa.org/korean/in-depth/2025/03/12/north-korea-human-rights-gender-based-violation/
More episodes
View all episodes
4. <노 에디터와 서 기자의 편집회의> 네 번째 - 워싱턴에 곧 따뜻한 봄이 오길...!
20:51||Ep. 4◎ 노 에디터와 서 기자가 네 번째 편집회의에서 다룬 내용이 더 궁금하다면? - 북한에서 하루 네 끼까지 먹던 탈북민이 한국에서 두 끼만 먹는다? 서 기자는 하루에 몇 끼 먹어요?https://www.rfa.org/korean/news_indepth/north-korea-escapees-food-consumption-eating-habit-change-02122025093225.html- 북한에서도 악명 높은 정치범 수용소 중 하나인 요덕 ‘15호 관리소’가 드디어 폐쇄되고 새 주택 단지가 건설됐다는데... RFA가 위성사진으로 살펴본 요덕 수용소!https://www.rfa.org/korean/news_indepth/north-korea-camp15-yodok-prison-camp-satellite-02242025145705.html- 그래서 북한 새 농촌 살림집은 어떻게 생긴 건데?!https://www.rfa.org/korean/news_indepth/north-korea-rural-housing-development-02262025161722.html<노에디터와 서기자의 편집회의> 취재 현장의 리얼 토크, 함께 만나보시죠!
03:37|취재의 뒷이야기와 깊이 있는 스토리를 나누는 특별한 시간!한 달에 두 번, '노 에디터와 서 기자의 편집회의'가 청취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현장의 생생한 경험과 진솔한 대화로 가득 찬 편집회의, 노 에디터와 서 기자가 함께합니다. 놓치지 말고 함께해주세요!3. <노 에디터와 서 기자의 편집회의> 세 번째 - “에디터님, 일이 너무 많아요”… “그게 좋은 거야”
27:29||Ep. 3‘꼰대’ 노 에디터와 ‘MZ세대’ 서 기자의 세 번째 편집회의에서는 매달 북한 여행 상품을 내놓고 있는 러시아 여행사와 관광객들의 후기, 과도기에 접어든 북한 관광 산업에 대한 뒷이야기를 나눴는데요. 만약 노 에디터와 서 기자에게 북한 여행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어디를 가장 가보고 싶을까요?또 김정은 정권이 올해 ‘지방병원의 현대화’ 정책을 내놓았는데, “기존 병원이나 잘 관리하라”는 쓴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왜 다시 병원을 지으려고 하는지… 북한 병원의 현주소와 ‘지방병원 현대화’ 정책을 분석해 보는 아이템은 어떨까요? 또 분석해야 할 북한 위성사진도 많은데… <노 에디터와 서 기자의 편집회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관련 기사 읽기>1. 북한을 여행한 러시아 관광객에 관한 이야기- https://www.rfa.org/korean/news_indepth/north-korea-tourism-russia-rason-tour-02042025145909.html2. 탈북민 김일혁 씨가 경험한 북한 병원의 현주소 - https://www.rfa.org/korean/news_indepth/north-korea-hospital-regional-development-kim-jong-un-modernization-kim-regime-02132025110118.html2. <노 에디터와 서 기자의 편집회의> 두 번째 - 이번엔 상 한번 타자!
16:58||Ep. 2노 에디터와 서 기자의 두 번째 편집회의에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을 다룬 특집 영상에 대해 아이디어를 나눴는데요. 가족도, 자신도 모르게 사선으로 끌려온 북한군의 심정, 전쟁포로로 살아남아도 고향에 돌아갈 수 없는 북한군의 처지를 객관적으로 어떻게 전할 수 있을까요?또 요즘 한국인은 점점 적게 먹는다는데… ‘못 먹는 북한, 안 먹는 남한’이란 주제로, 남한 사회에 정착한 탈북민들의 식생활을 조사해 남북한의 식량 상황을 비교하는 아이템은 어떨까요?<노 에디터와 서 기자의 편집회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관련기사 읽기> 1. 영국에서 들어본 탈북민 박지현 씨의 사연 ▶https://www.rfa.org/korean/special-programs/ukdefector-07042023091426.html2. 제네바에서 만난 탈북민 김규리 씨의 사연 ▶ https://www.rfa.org/korean/special-programs/genevaunhumanrights-05222024154456.html3. 2022년 그레이시 어워드 수상작! ▶ https://www.rfa.org/korean/news_indepth/defectorwomensp-12092021154104.html4. 북한군에 대한 우크라 정보당국의 입장은? ▶ https://www.rfa.org/korean/news_indepth/north-korean-soldiers-ukraine-russian-war-pow-treatment-repatriation-01232025135334.html1. <노 에디터와 서 기자의 편집회의> 첫 번째 - 올해 뭐 할거야?
21:02||Ep. 12025년 첫 편집회의에서는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북한의 행보와 주민들의 일상 및 인권 문제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앞으로도 북한의 상황과 주민들의 인권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다양한 시각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노에디터와 서기자의 편집회의>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노 에디터와 서 기자의 편집회의] 청취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01:50|취재의 뒷이야기와 깊이 있는 스토리를 나누는 특별한 시간!2025년 '노 에디터와 서 기자의 편집회의'가 청취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현장의 생생한 경험과 진솔한 대화로 가득 찬 편집회의,놓치지 말고 함께해주세요!